메가패스 닫기 고3 메가패스 오늘하루열지않음
메가패스 닫기 고3 메가패스 오늘하루열지않음

우리가 성공할 가능세계

이름 : 최건호  스크랩
등록일 :
2024-02-27 16:08:14
|
조회 :
7,772

안녕하세요! 2월 칼럼으로 찾아왔습니다.

 

칼럼을 시작하기 앞서, 여러분들께 짧은(?) 글 단락 하나를 드리겠습니다.

잘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주세요!

 

(논리학을 잘 알지는 못하기에, 너그럽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능세계’의 개념은 일상 언어에서 흔히 쓰이는 필연성과 가능성에 관한 진술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는 가능 하다’는 P가 적어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성립한다는 뜻이며, ‘P는 필연적이다’는 P가 모든 가능세계에서 성립한다는 뜻이다. “만약 Q이면 Q이다.”를 비롯한 필연적인 명제들은 모든 가능 세계에서 성립한다. “다보탑은 경주에 있다.”와 같이 가능하지만 필연적이지는 않은 명제는 우리의 현실세계를 비롯한 어떤 가능 세계에서는 성립하고 또 어떤 가능세계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Q: 자신의 수험생활이 끝났을 때,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는 존재하는가? (O, X)

 

 

공부를 열심히 하신 분들이라면, 아마 친숙하게 느끼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지문은 2019 수능 국어 영역에서 나온 지문의 일부입니다.

최근 우연히 다시 읽어보게 되었는데, 인상깊어서 이번 칼럼에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글을 정리해볼까요?

 

어떠한 명제가 가능하다는 것은 그 명제가 적어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성립한다는 것이고,

어떠한 명제가 필연적이란 것은 그 명제가 모든 가능세계에서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명제는 “만약 A이면 B이다.”라고 구성될 수 있는데

전통논리학은 A가 거짓이라면 B의 참, 거짓에 관계없이 명제를 참으로 바라봅니다.

 

 

“나는 수험생활을 마무리 했을 때,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것이다 라는 명제를 생각해봅시다.

 

이 명제는 가능하지만 필연적이지는 않은 명제입니다. 

즉 가능한 명제이기에, 적어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는 성립한다는 뜻입니다.

 

전통 논리학의 입장에서 보면 어떨까요?

 

아직 우리는 수험생활을 마무리짓지 않았습니다.

이제 시작하는 단계이고, 한참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A ‘나는 수험생활을 마무리했다’가 거짓이기에,

B ‘나는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있다’에 관계없이,

명제 “나는 수험생활을 마무리 했을 때,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것이다” 는 참이 됩니다.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3월.

3월은 가히 '시작'의 시기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누군가는 다시 한 번 수능 공부를 시작하며 3월을 맞이할 수도 있고, 

누군가는 학교에서 새로운 학년을 시작하며 맞이할 수도 있습니다.

 

'시작'이라는 말은 부담감을 안겨주는 단어일 뿐, 거창하지 않습니다.

앞으로 수없이 가야할 길 가운데에서 첫발을 내딛었을 뿐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저 너머의 과정들을 걱정하지 마세요.

덤덤하고 태연하게 앞의 것을 집중하며 나아가시길 응원합니다!

 


어느덧 3월을 맞이하는 우리.

그 무엇도 우리는 단정할 수 없습니다.

 

새로운 시작과 앞으로의 여정에 겁먹고 두려워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아직 길의 끝에 도달한 것도 아니고,


우린 어떤 가능세계에서 만큼은 길의 끝에서 꼭 성공해서 웃고있을 테니까요.

 

 

힘차게 시작했지만, 길을 걸어가는 도중 힘든 시기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그때, 다들 이 글을 생각하시면서 다시 발을 내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최건호
  • 동기부여
멘토

전남대

최건호 멘토

  • ○ 전남대 의예과 23학번
  • ○ 자연계열 / 수시전형
  • ○ 제19기 목표달성 장학생
비밀글쓰기
등록

- 300자 이내로 작성해주세요. - 댓글(답글 포함)은 한 게시물 기준 하루에 3개까지 작성 가능하며, 삭제한 댓글도 작성한 댓글로 간주합니다. 게시물 관리 정책 확인 >

검색  비밀글 제외
전체 14
  • 김*민     2024-03-03 18:36:56

    답글

    신고
    내가 수능을 끝나고 멋지게 후회없이 웃으며 서울대 경제에 입학하는 것은 내가 모든 가능세계에서 이 세계의 나처럼 행동한다면, 필연적인 명제이다.
  • 김*혁     2024-03-01 15:41:11

    답글

    신고
    그런데 “수험생활을 마무리 했음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여 웃고 있지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 김*호     2024-02-29 10:08:03

    답글

    신고
    비밀글입니다.
  • 방*민     2024-02-28 15:51:58

    답글

    신고
    비밀글입니다.
  • 이*용     2024-02-28 11:45:23

    답글

    신고
    자신의 수험생활이 끝난다면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느냐? 자신이 수험생활을 끝낸다고 하여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너는 수험생활이 끝나지 않기를 바라느냐? 수험생활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하여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가 사라져버린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수험생활이 끝나지 않았을 때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는 존재하는 것이 되고, 수험생활이 끝났을때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가 소멸한다는 말은 무슨 근거로 할까?
  • 이*용     2024-02-28 11:45:10

    답글

    신고
    수험생활을 끝내야 할때 수험생활을 끝맺지 못하는 것(N수)에서 연유한다. 수험생활을 끝맺어야 할때 수험생활을 끝맺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수험생활이 끝날 때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가 존재하게 된다고 치자. 그렇다면 수험생활이 끝나면 안될 때 수험생활이 끝난 자에게는 목표를 달성하여 웃고 있을 가능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말이 옳을까? -Team 05-
  • 김*재     2024-02-27 21:58:19

    답글

    신고
    가정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 석*규     2024-02-27 20:59:38

    답글

    신고
    “ 그 말이 옳을까? ”
  • 송*영     2024-02-27 20:31:19

    답글

    신고
  • 권*현     2024-02-27 18:09:23

    답글

    신고
    비밀글입니다.
  • 멘토최건호    2024-02-27 20:11:21 신고
    비밀글입니다.
  • 박*이     2024-02-27 16:49:01

    답글

    신고
    아 그로네ㅜㅋㅋㅋㅋㅋㅋ 이걸 이런식으로... 또다른 세계의 나 화이팅
  • 박*이     2024-02-27 16:48:05

    답글

    신고
    가능세계 저거 비문학 지문 발췌인가...?? ptsd on
  • 김*윤     2024-02-27 16:12:11

    답글

    신고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