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gaStudy

사이드 메뉴 알림

큐브 영상/칼럼(QCC)

[학습법] <보기> 제대로 읽는 법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박예찬 마스터
등록일 2025-01-21 | 조회 12277

_<보기>로 평가원 출제 포인트 알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학에서 항상 쟁점이 되고 있는 <보기>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합니다. 평가원의 문학을 어떻게 분석하고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보기>를 통해 평가원의 출제 원리를 알아볼게요!! “25수능의 34번 문제”를 통해서 <보기>의 중요성을 같이 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image
먼저 같이 <보기>를 읽어볼까요? (가)(나) 두 작품의 <보기>에서 출제 요소는 보통 두 가지입니다. 바로 두 작품의 공통 범주와 두 작품의 각각의 특성이죠. 여기서 주의할 점은 두 작품의 각각의 특성들은 그 작품에만 해당하는 것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이 특성이 맞을지 틀릴지 뇌피셜로 고민하기에 문학을 어렵게 생각하지만 이미 <보기>에서 알려주고 있어요! 따라서 <보기>를 논리적으로 읽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34번의 <보기>는 (가)(나)의 공통 범주/ (가)의 특성 / (나)의 특성 순으로 알려주고 있어요. (Tip은 꼭 챙기세용 :))

image
_1번 선지
<보기>에서 “입장이 다른 발화자”라는 공통 범주를 통해 발화자가 “그대”와 “자네“임을 알 수 있고 “사실적으로”라는 선지의 내용은 <보기>에 서술되어 있어요. 여기서 사실적인 아닌지 판단하는 건 뇌피셜입니다! 판단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 아님을 꼭 명심해 주세요!

_2번 선지
마찬가지로 공통범주를 통해 “이내”와 “그대”가 발화자임을 알 수 있고 1번 선지를 끌고 내려 오면 “자네”가 “이내”임을 논리상 알 수 있어요. (화살표 구조도 참고하기) 근데 1번 선지는 고통에 대한 내용임 반면, 2번 선지는 해결에 대한 내용이어서 범주가 다릅니다. 충돌함을 알 수 있어요! 이런 부분만 지문을 통해 판단하시면 됩니다. => 정답 선지 
“구체적으로”라는 선지 내용 또한 <보기>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인지 아닌지 판단할 필요가 없습니다!

image
_3번 선지
공통 범주를 통해 이번엔 “선행하는 화자”와 “우리”가 발화자임을 알 수 있어요. “의외의 상황”라는 선지 내용 또한 <보기>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판단X

_4번 선지
마찬가지로 “불완전한 표현~드러내는군”라는 선지 내용이 <보기>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판단X

image
_5번 선지
(가)와 (나)가 동시에 선지에서 나오고 있어요. 이런 경우엔 공통 범주에 대해 물어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린 이미 알고 있죠? “말을 건네고 있어~보이는군”라는 선지 내용 또한 <보기>에 공통범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_평가원 출제 POINT
문학을 풀때 내용을 해석하면서 풀려는 학생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평가원은 어려운 해석을 바라지 않습니다. 지문에 가서 확인하기 보다는 먼저 <보기>를 정확히 읽고 선지에 이를 분리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34번 문항의 선지처럼 1.2번은 (가) / 3.4번은 (나) / 5번은 (가)(나) 인 경우, 각각 분리해서 선지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해요. 만약 (가)의 선지에 (나)의 특성이 적혀 있다면 그 선지가 그럴 듯 하더라도 옳지 않은 선지가 되는 거죠!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런 그럴듯한 선지일 때 오답률이 올라가지만 그런 선지는 <보기>의 논리 구조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문항도 무려 오답률이 47%랍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이 내용이 사실적인지 아닌지 불완전한지 아닌지 와 같은 판단은 우리의 몫이 아닙니다. 평가원은 이미 알려주고 있으니 우리는 받아 챙기기만 하면 된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오랜만에 문학 분석과 해설을 적는 것 같아요. 가독성이 좋을지 모르겠지만 더 분발하겠습니다🫠<보기> 제대로 읽는법 시리즈는 언제나 열려있습니당. 다음에 또 기회가 된다면 평가원의 다른 출제 원리를 알려드리러 올게요!!
오늘 하루도 화이팅👍

+) QCC 주제 추천해주세요 제발ㅠㅠ 다 좋아요..🙏🏻


좋아요 282 sns
#<보기> #문학 #평가원 #출제 #박예찬문학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박예찬 마스터
목록으로
나도 한마디 0

- 댓글(답글 포함)은 한 게시물 기준 하루에 3개까지 작성 가능하며, 삭제한 댓글도 작성한 댓글로 간주합니다.

등록
더보기(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