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gaStudy

사이드 메뉴 알림

큐브 영상/칼럼(QCC)

[대학생활] 유전생명공학과 소개!!!
경희대학교 유전생명공학과 구시연 마스터
등록일 2025-07-02 | 조회 11654

여러분, 안녕하세요! 잘 지내고 계셨나요?


오늘은 저번에 예고했던 것처럼 (기억하실진 모르겠지만ㅠ) 학과 소개를 해보려고 합니다. 아직 1학년이고,. 한 학기만 다녀봐서 아는 것이 많진 않지만, 나름 열심히 준비해 봤으니 편하게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경희대 생명과학대학 유전생명공학과

 경희대 유전생명공학과는 생명과학대학 소속으로 공과대학, 외국어대학, 응용과학대학, 체육대학, 전자정보대학, 예술디자인대학, 자유전공학부 등과 함께 국제 캠(수원)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image

 생명과학대학에는 유전생명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융합바이오신소재공학과, 스마트팜과학과가 존재합니다!


(p.s)아래는 학교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유전생명공학과 소개 글입니다. 궁금해하실 것 같아 가져왔어요..!

 image


2 전공과목 소개

 전공과목은 크게 전공 기초, 전공 필수, 전공 선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학년 때 배우는 과목은 거의 전공 기초인데요, 생물1, 2 화학1 ,2 생물 통계학, 유전생명공학개론이 있습니다.

image

요거는 우리 학과에 오면 배우게 될 전공과목들! 참고해주세요!


 저는 이번 학기에 전공수업으로 화학, 생물, 개론 이렇게 3개를 들었습니다. 이중  유전과의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 이번 학기에 가장 흥미롭게 들었던 과목인 (성적도 흥미로운….) 유전생명공학개론 과목을 중심으로 더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먼저, 강의 계획서에 나와있는 과목 소개 글에는

“유전자, 염색체, 게놈 등의 기본 구조 및 발현 체계를 비롯한 분자생물학적 기초 지식과 기술 등을 습득하고, 생체를 기반으로 한 유전자 조작의 기본 기술 및 활용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또한 유전생명공학을 이용한 단백질 의약품 개발, 질병의 치료와 진단의 활용 등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을 배운다”

요렇게 나와 있습니다.


 제가 살짝 요약해 보자면, 앞으로 배우게 될 생명공학 기술들의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는 강의라고 생각해요! 우리가 원하는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고, 정제하기 위해, 이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어떤 호스트를 사용해야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한지, 생산 후 어떤 방법으로 정제하는지 등을 배웁니다. 유전자 조작과 활용, 질병 치료, 백신 등의 내용도 배운답니다!

image

대충 이런 내용들! 더 자세히 보여드리자면,

imageimage

첫 번째 사진은 플라스미드 벡터 내용, 두 번째는 스크리닝 기법입니당.


image

여러분 그리고 다들 PCR에 대해선 한 번쯤 들어보셨죠? (유우명한 기출도 있고, 코로나 때 워낙 많이 접하기도 했고!) 이 과목에서는 한 챕터 내내 pcr에 관해 배운답니다..


image

요거는 단백질 생산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에 관한 내용입니다.


학부 때 배우게 될 내용, 기술들, 실험의 기본적인 원리를 전반적으로 알려주는 강의인 것 같아 어렵기도 했지만, 그만큼 재밌기도 했어요.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내년에 직접 와서 들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생물, 화학도 잠깐 언급해 보자면,.

생물1은 여러분이 한 번쯤 들어보셨을 캠벨 생명과학 원서를 가지고 수업합니다! 강의계획서를 찾아봤더니, “이번 학기 동안 생명체의 분자적 및 세포적 기반과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라고 적혀있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고등학교 화학+생1, 2 내용 심화 버전? 을 배우는 것 같았습니다. 영어로 적힌 용어들에 익숙해지는 것이 쪼금 힘들긴 했지만, 고등학교 때 내용과 많이 다르지 않아 크게 어렵지 않아요! (“마스터님! 근데 성적은 왜…?????”라고 묻는다면,. 할말이 없긴 합니다만….)


화학1도 고등학교 때 배운 내용과 겹치는 것이 많아요! (고2때 4단원 내신 시험 보고 화학에 트라우마 생겼는데,, 지금은 나름 재밌는 것 같기도..?! 성적은… ㅎ….) 고등학교에서 화학 시간에 궁금했던 부분들을 더 자세히 배우는 느낌이라 꽤 흥미로워요!

 

 +생물통계학

 제가 이번에 수강하진 않았지만, 궁금해하실까 봐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면, 생물통계학은 생물학 및 바이오의학 분야 연구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통계 개념과 적용 방법을 학습한다고 합니다. 실험의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해석을 위해 코딩, 통계 분석 방법을 학습한다고 해요! 수업 시간에 코딩 잘 따라 하고, 확통 배웠으면 많이 어렵진 않다고 합니다.

 

3. 과 동아리

 저의 학과 내에는 3개의 과동아리가 존재하는데요! 학술동아리, 토론동아리, 테마 여행 동아리가 있습니다. 과 학생 대부분이 이 세 개 중 하나의 동아리에 속해 활동에 참여합니다. 저는 학술동아리에 들어갔습니다. 조에서 선정한 논문을 읽고, 스터디를 진행하여 논문 해당 파트의 담당자에게 질문하며 궁금한 점, 모르겠는 점을 해결하는 시간을 가져요! 중간고사 이후에는 학술제를 진행하여 발표와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답니다. 이번에는 명지대, 성균관대와 함께 학술제를 진행했습니다!

image


4. 교양과목

 유전과만의 특징은 아니지만, 교양과목에 관해서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을 듯하여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저희는 필수 교양, 배분 이수 과목을 졸업 요건에 맞추어 수강해야 합니다. 그중 1학년 때 주로 듣는 필수 교양 과목은 세계와 시민, 성찰과 표현, 인간의 가치 탐색 등이 있습니다.


저는 이번 학기에 세시와 성표를 들어 이 과목들을 더 소개해 드리자면!


‘세계와 시민’ 과목은

“세계시민으로서의 의식과 역량을 함양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글로벌한 차원에서에서 구성되고 있는 시민적 삶의 존재 조건을 이해하고, 평화롭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 세계시민으로서의 책임감 있는 삶을 토론하고, 공동 프로젝트(Global Citizen Project, GCP)를 통해 그 사유를 구체적 실천으로 확장한다.”

라고 강의 계획서에 나와 있듯 세계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르는 수업입니다. 아주 유명한 팀플 수업이기도 하죠… 수업을 듣고, 팀원들과 현재 해결해야 하는 세계 문제를 하나 선정한 다음 GCP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이론 조사, 설문지 구성과 배포, 기부를 위한 굿즈 제작과 판매, 카드뉴스 제작, 홍보 활동 등등 많은 직접 설계하고 실행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한 학기동안 주제 선정부터 프로젝트 실행, 보고서 작성, 발표까지 해야하는 과목이라 힘들기도 했지만, 저는 운이 좋게 열정적이고 배울 점이 많은 조원들을 만나 잊지 못할 경험을 쌓았던 과목입니다. 혹시 내년에 경희대에 오게 되신다면 팀플 과목이라고 걱정부터 하지 마시고, 힘들어도 다양한 활동으로 채워가는 시간을 만들면 좋을 것 같아요!


“성찰과 표현”은 글쓰기 과목입니다. 교수님마다 차이가 큰 과목이어서.., 어떤 교수님께서는 매주 영화 평론 등 글쓰기 과제를 내주신다고 하고, 제가 들었던 교수님께서는 수업 시간에 조원들과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의견을 나눌 시간을 마련해주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토의나 토론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되었고, 개요나 초고 피드백과 최종본 피드백도 구체적으로 알려주셔서 기억에 남았던 강의입니다.


이렇게 학과 소개를 해보았는데,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네요..!!


요즘 밖에 잠깐 서 있기만 해도 녹아버릴 것 같은 덥고 습한 날씨 때문에 많이 힘들 텐데ㅠ 건강관리 잘하고, 밥 잘 챙겨 먹고, 물도 많이 마시면서 같이 달려봅시다!


image

개강 날 생대 강의실에서 찍은 사진인데 (25학번이라면 모두 기억할 날…) 더위를 조금이나마 날려 주길 바라며 남겨둘게요. 오늘 하루도 정말 수고하셨고, 남은 시간도 파이팅!!

좋아요 48 sns
#생명공학 #학과소개 #더운 #여름에도 #힘내봅시다!!
경희대학교 유전생명공학과
구시연 마스터
목록으로
나도 한마디 0

- 댓글(답글 포함)은 한 게시물 기준 하루에 3개까지 작성 가능하며, 삭제한 댓글도 작성한 댓글로 간주합니다.

등록
더보기(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