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메가스터디 영문법 개념백과 186 기본편>은 많은 영문법 요소들 가운데 학교 영어 범주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영문법 요소 186개를 선별하여 ‘내신-수능’까지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든 영문법 기본서입니다.
○ 고교생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영문법 개념 186개 ○ 필기노트 스타일의 ‘개념-예시-추가설명’의 술술~* 이어지는 흐름 ○ 학기 중엔 참고서로, 방학 중엔 문법 점검서로 내신-수능까지 한번에
<교재 특장점 : 대학생들의 교재 검토 후기로 듣는 교재의 특장점>
상세하게 개념을 전달하는 책이라기보다는 요점 정리집에 더 가깝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정말 필요한 내용만 압축해서 알차게 담아낸 책이에요. 따라서 부족한 개념을 보충하는 용도로 쓰시면 좋을 거 같아요. 또 단기에 빠르게 문법을 완성하고 싶으신 분들께도 추천하고 싶습니다. 요점정리라고는 하지만 딱히 개념설명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없었어요. 오히려 설명이 다른 문법 책들보다 쉬워서 이해하기도 편했습니다. 특히 수능을 앞둔 수험생 분들의 경우 수능연계교재에 별다른 개념 설명이 없다 보니 문제를 풀다가도 가끔씩 개념이 헷갈릴 때가 있을 거예요. 그럴 때 이 책을 참고해서 빠르게 필요한 답을 찾고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또한 본격적으로 수능 준비에 들어가기 전에 문법 개념을 한 번 짚어보고 싶을 때에도 이 책을 보는 걸 추천합니다. 문제 수도 얼마 없고, 개념이 잘 요약되어 있어서 빠른 시일 내에 문법을 마스터하기 좋아요. 방학 등 여유가 있을 때 한 번 훑어보면서 문법 개념을 점검하고, 학기 중에는 모르는 내용을 찾아보는 참고서로 활용하시면 딱 적당할 거 같습니다. -성균관대 경제학과 성가현-
문법의 기본기를 세울 때는 여러 권의 책을 보는 것보다 한 권의 책을 수없이 반복해서 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저는 고등학교 때 같은 문법책을 10번은 본 것 같아요. 여러분도 이 책을 문법의 기본서라고 생각하고 수없이 반복해서 본다면 실력이 탄탄하게 다져질 거에요. 이 책을 끝내는 그날까지 응원하겠습니다, 파이팅!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김예림-
한 과를 풀어보니 문법에 대한 설명과 간단한 문제로 이루어져 확실히 “기초”부터 다질 수 있는 책인 듯 합니다. 시간이 많은 친구는 <영문법 개념백과 186 → 어법 문제집> 순서로, 영문법 책을 정독하고 어법 문제집을 풀어보며 공부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틀린 문제가 생긴다면 영문법 책의 해당 과로 돌아와 다시 그 개념을 공부하는 것이 좋겠지요. 하지만 “내가 시간이 너무 없다! 급하다!” 하는 친구는 어법 문제집을 풀며, 어법 문제에서 헷갈리는 문법만을 쏙쏙 이 책을 통해 선택적으로 읽고 공부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문제집은 본인이 활용하기 나름이며 영문법 특성상 선택적인 공부가 가능하기 때문이에요. 어느 정도 영어를 하는데 가끔 어법이 영 헷갈린다 하는 학생들은 이 책을 하나의 영문법 문제의 답지로 활용하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자신이 약한 부분의 문법만 쏙쏙 골라 읽고 간단히 문제를 풀며 문법을 다지는 방법이 좋아요. -서강대학교 화학과 하은현-
1. 문장의 형식과 동사 1.1. S + V : 1형식 1.2. S + V + S.C. : 2형식 1.3. S + V + O : 3형식 1.4. S + V + I.O. + D.O. : 4형식 1.5. S + V + O + O.C. : 5형식 1.5.1. 목적격보어로 <명사(구)나 형용사(구)>를 취하는 동사 1.5.2. 목적격보어로 <부정사(구)>를 취하는 동사 1.5.3. 목적격보어로 분사를 취하는 동사
3. 수동태 3.1. <능동태 → 수동태>로의 전환 및 주의사항 3.2. 3형식의 수동태 3.3. 4형식의 수동태 3.3.1. 직접목적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할 때, 간접목적어 앞에 오는 전치사 to, for, of 3.3.2. 직접목적어만 주어로 하여 수동태를 만드는 동사 3.3.3. 간접목적어만 주어로 하여 수동태를 만드는 동사 3.4. 5형식의 수동태 3.4.1 목적격보어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들 3.4.2 목적격보어의 형태가 변하는 것들 3.5. 주의해야 할 수동태
5. 동명사 5.1. 동명사의 형태와 역할 5.2. to부정사 vs. 동명사 5.2.1. 동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5.2.2. to부정사만을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5.2.3. 목적어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 5.3. 동명사의 관용표현 5.4.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 5.4.1. 의미상의 주어의 형태 5.4.2. 의미상의 주어를 표기하지 않은 경우 5.5. 동명사의 시제와 태
6. 분사 6.1. 분사의 형태와 기능 6.1.1. 분사의 기능: 한정적 용법, 서술적 용법 6.1.2.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 6.2. 분사구문의 형태와 의미 6.2.1. 분사구문의 형태 6.2.2. 분사구문의 의미 6.3. 분사구문의 시제와 태 6.4. 주의해야 할 분사구문 6.4.1. 「with + 목적어 + 분사」구문 6.4.2. 독립 분사구문 6.4.3. 비인칭 독립 분사구문 6.4.4. 현수 분사구문
7. 조동사 7.1. 일반 조동사 : be, have, do 7.2. 법 조동사 7.2.1. can/could 7.2.2. may/might 7.2.3. must/have to 7.2.4. will/would/used to 7.2.5. should[ought to]/had better 7.2.6. 조동사 + have + p.p.
8. 가정법 8.1. 직설법과 가정법 8.2. 가정법 과거 8.3. 가정법 과거완료 8.4. 혼합 가정법 8.5. 가정법이 사용된 구문 8.5.1. I wish 가정법 8.5.2. as if 가정법 8.5.3. without 가정법 8.6. If의 생략
9. 전치사 9.1. 전치사의 역할과 전치사의 목적어 9.2.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9.3.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 9.4. <원인·이유·목적·결과>를 나타내는 전치사 9.4.1.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전치사 9.4.2. <목적·결과>를 나타내는 전치사 9.5. 주요 전치사의 쓰임 (1) : in, on, at, for, by 9.6. 주요 전치사의 쓰임 (2) : from, of, with, to
12. 관계부사 12.1. 관계부사의 역할과 종류 12.1.1. 관계부사의 역할 : 관계대명사 vs. 관계부사 12.1.2. 관계부사의 종류 12.2. 관계부사의 용법 : 제한적 용법, 계속적 용법 12.3. 선행사 또는 관계부사의 생략 12.4. 복합관계부사
13. 명사와 관사 13.1. 명사의 분류 (1) 13.1.1.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13.2. 명사의 분류 (2) 13.2.1. 보통명사 13.2.2. 집합명사 13.2.3. 고유명사 13.2.4. 추상명사 13.2.5. 물질명사 13.3. 주의해야 할 명사의 수 13.4. 명사의 소유격 13.5. 독립소유격과 이중소유격 13.5.1. 독립소유격 13.5.2. 이중소유격 : of+소유대명사 13.6. 부정관사 a/an 13.7. 정관사 13.8. 관사의 위치 13.9. 관사의 생략
14. 대명사 14.1. 대명사의 종류와 용법 14.2. 인칭대명사 (1) : 재귀대명사 -self/-selves 14.3. 인칭대명사 (2) : it 14.4. 지시대명사 this, that 14.5. 부정대명사 one, ones 14.6. 부정대명사 another, other 14.6.1 부정대명사 another, other의 관용표현 14.7. 부정대명사 some, any 14.8. 부정대명사 all, both 14.9. 부정대명사 each, every 14.10. 부정대명사 either, neither 14.11. 부정대명사 no, none 14.12. 복합 부정대명사 14.13. 부분부정과 전체부정
15. 형용사와 부사 15.1. 형용사의 역할과 종류 15.2. 성상형용사 15.3. 부정 수량형용사 15.3.1. 부정 수량형용사 many/much 15.3.2. 부정 수량형용사 a few/few 15.3.3. 부정 수량형용사 a little/little 15.4. 주의해야 할 형용사의 쓰임 15.4.1. 형용사의 후치 수식 15.4.2. 「the + 형용사」 15.4.3. 유사보어 15.4.4. 분사 형용사 15.4.5. 특정한 형태로 자주 쓰이는 형용사들 15.5. 부사의 역할 및 형태 15.5.1. 부사의 역할 15.5.2. 유의해야 할 형태의 부사들 15.6. 주의해야 할 부사의 쓰임 15.6.1. 빈도부사 15.6.2. like vs. alike 15.6.3. so vs. such 15.6.4. most vs. almost 15.6.5. no vs. not
16. 비교 구문 16.1. 원급을 사용한 비교 16.2. 원급을 사용한 관용표현 16.3. 비교급 구문 16.4. 비교급을 사용한 관용표현 16.5. 최상급 표현 16.6. 최상급을 사용한 관용표현
17. 특수 구문 17.1. 도치 (1) : 문법상의 이유에 의한 도치 17.1.1. There/Here로 시작하는 구문 17.1.2. 의문문 17.1.3. 「so/neither[nor] + 동사 + 주어」 17.1.4. 조건절의 if 생략 17.1.5. 양태 접속사 as(~처럼), 비교 접속사 than 17.1.6. 문장의 균형 17.2. 도치 (2) : 어구의 강조에 의한 도치 17.2.1. 장소·방향 부사(구) 17.2.2. 보어의 도치 17.2.3. 부정어 문두 도치 17.2.4. only가 이끄는 부사구[부사절] 17.2.5. 접속사 as/though가 이끄는 양보의 부사절 17.3. 강조 17.3.1. 동사의 강조/명사의 강조 17.3.2. 「It is/was ~ that …」 강조 구문 17.3.3. 그 외 강조의 표현 17.4. 동격 17.5. 병렬 구조 17.5.1. 등위접속사에 의한 병렬 구조 17.5.2. 상관접속사에 의한 병렬 구조 17.5.3. 비교 구문에서의 병렬 구조 17.6. 생략과 삽입 17.6.1. 생략 17.6.2. 삽입
18. 일치와 화법 18.1. 시제 일치와 시제 일치의 예외 18.2. 주의해야 할 수 일치 (1) 18.2.1. 주어가 수식을 받아 동사와 떨어져 있는 경우 18.2.2. 주어가 명사구나 명사절인 경우 18.2.3. 주격 관계대명사절의 선행사와 동사 18.2.4. 도치 구문에서의 주어와 동사 18.2.5. 그 외의 경우 18.3. 주의해야 할 수 일치 (2) 18.3.1. each/every가 포함된 구문이 주어인 경우 18.3.2. 「the number of」 vs. 「a number of」 구문이 주어인 경우 18.3.3. 「(a) few, both, many」, 「the + 형용사」 구문이 주어인 경우 18.3.4. 부분을 나타내는 어구가 주어인 경우 18.3.5. 단수 취급하는 범주의 단어들이 주어인 경우 18.3.6. 상관접속사가 쓰인 주어인 경우 18.4.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18.4.1. 평서문의 화법 전환 18.4.2. 의문문의 화법 전환 18.4.3. 명령문의 화법 전환